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피그마 상장 250% 급등 이유

by 밸런스저널 2025. 8. 1.
반응형

피그마 상장 핵심 정리: 투자 전 꼭 알아야 할 10가지 포인트

2025년 7월 31일, 디자인 툴의 대표 주자 ‘피그마(Figma)’가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전격 상장하며 투자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습니다. ‘FIG’라는 티커로 등장한 피그마는 첫날에만 주가가 무려 +250%나 폭등했는데요. 단순한 흥행 그 이상, 그 배경과 향후 주가 흐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투자 포인트를 하나하나 짚어봅니다.

1. 상장 전부터 주목받은 IPO… 그 배경은?

피그마의 상장은 단순한 스타트업 IPO 그 이상이었습니다.
2023년 Adobe가 약 200억 달러에 인수를 시도했지만, 유럽연합과 영국의 반독점 규제로 무산되면서 피그마는 독자 행보를 택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Adobe는 계약 해지 보상금으로 약 10억 달러를 피그마에 지급했고, 그 자금을 기반으로 피그마는 더욱 공격적인 제품 개발과 IPO 준비에 들어갔습니다.

2025년 4월, 비공개로 S-1 서류를 제출한 뒤 7월 1일에 공식 공시되었으며, 최종 공모가는 수요 급증에 따라 $33로 결정되었습니다. 당초 희망 범위($25~28)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투자 수요는 상상을 초월했죠.

2. 상장 당일, 주가는 왜 이렇게 폭등했을까?

첫날 시초가는 $85, 종가는 무려 $115.50에 마감되며 공모가 대비 약 250%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이 현상에는 여러 요인이 작용했습니다.

  • 공모가가 보수적으로 책정되었다는 인식
    시장에서는 피그마의 플랫폼 가치에 비해 $33의 공모가가 지나치게 낮다는 평가가 많았습니다. 실제로 IPO 로드쇼에서의 수요는 기대치를 훨씬 웃돌았지만, 피그마는 여전히 조심스러운 자세를 유지했기 때문에, 상장 당일 투자 수요가 한꺼번에 몰렸습니다.
  • 확고한 사용자 기반과 빠른 실적 성장
    2024년 연매출은 약 $749M로 전년 대비 48% 성장했고, 2025년 1분기에는 $228.2M의 매출과 함께 $44.9M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특히 월간활성사용자(MAU)가 약 1,300만 명에 달하고, 포춘 500대 기업의 95%가 고객사라는 점에서 B2B 기반의 안정적인 수익구조가 확인됐습니다.
  • AI 기반 제품군 발표와 확장 전략
    2025년 5월 Figma의 연례 컨퍼런스 ‘Config’에서는 AI 중심의 신제품 4종이 공개되었습니다. Figma Sites, Buzz, Draw 등은 단순한 디자인을 넘어 전체 제품 개발 주기를 통합하는 플랫폼 전략의 일환으로 소개되었고, 그에 따라 피그마는 AI 디자인 툴을 넘어선 ‘엔드투엔드 제작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3. 누가 수익을 가장 많이 거뒀을까?

이번 상장으로 인해 가장 큰 수익을 거둔 주체들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 CEO Dylan Field는 약 790만 주의 Class B 주식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가가 일정 수준 이상 도달하면 최대 19억 달러의 성과보수를 받을 수 있는 조건입니다. 현재 주가 기준으로도 약 9억 달러 이상이 이미 실현 가능한 수준으로 평가됩니다.
  • 초기 벤처 투자사들, 예를 들어 Sequoia, Greylock, Kleiner Perkins 등은 상장 후 급등한 주가 덕분에 수십억 달러 규모의 평가차익을 거두었습니다.
  • 공동 창업자의 기부 사례도 눈길을 끌었습니다. 공동 창업자 Evan Wallace가 지분 일부를 기부한 ‘Marin Community Foundation’은 이번 IPO로 약 4억 4천만 달러의 수익을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4. 지금 투자해도 될까? 피해야 할 리스크는?

첫날 주가가 폭등했다는 사실만으로 섣부른 판단을 내리는 것은 위험합니다. 몇 가지 주의할 점도 반드시 체크해야 합니다.

  • 단기 과열 및 조정 가능성
    Facebook의 상장 사례처럼, 첫날 급등 이후 단기간에 25% 이상 하락한 전례도 존재합니다. 피그마 역시 투자 과열 해소 구간에서 일시적 조정이 나올 수 있습니다.
  • 경쟁 심화
    Adobe, Microsoft 등 대형 IT기업들도 AI 디자인 툴을 빠르게 상용화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피그마의 기술 우위가 얼마나 지속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 상장 시점 기준 고평가 논란
    IPO 직전 기업가치는 약 190억 달러, 상장 시 시가총액은 약 670억~700억 달러 수준으로, 단기간에 약 3배 이상 폭등했습니다. 이런 급등세가 실적과 성장률로 얼마나 정당화될 수 있을지 의문을 제기하는 전문가들도 있습니다.

5. 투자자 입장에서 확인해야 할 전략 포인트

단기 또는 중장기 투자 모두를 고려한다면 다음 3가지 전략을 체크하는 것이 좋습니다.

  • 락업 해제 일정 확인
    상장 후 일정 기간 동안 매도 제한(락업)이 걸려 있는 주요 주주들이 언제 주식을 매각할 수 있게 되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이 시점에 대규모 매도 물량이 쏟아질 수 있으므로 주가 변동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 AI 제품의 수익화 추이
    Q3, Q4 실적 발표에서 Figma의 AI 제품군이 실제로 수익 창출에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 분할 매수 전략 고려
    이미 주가가 크게 오른 상태에서는 진입 타이밍을 나누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주가 조정이 온다면 분할 매수를 통해 평균 단가를 낮추는 방식이 유효할 수 있습니다.

6. 요약: 지금 시점에서 피그마 IPO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항목핵심 내용
공모가/실거래가 $33 → $85(시초가) → $115.50(종가)
시가총액 상장 직후 약 $67B (직전 대비 3배 증가)
실적 흐름 연매출 $749M (+48%), Q1 순이익 $44.9M
플랫폼 기반 1,300만 MAU, 포춘 500 중 95% 고객
수익자 CEO, 초기 투자사, 기부재단 등 대규모 수익 실현
리스크 단기 조정, AI 경쟁, 고평가 논란
투자 전략 실적 확인 후 진입 or 분할 매수 추천

7. 피그마의 경쟁사, 지금 어떤 전략을 쓰고 있을까?

피그마가 AI와 플랫폼 확장을 무기로 상장에 성공한 가운데, 기존 빅테크 기업들도 반격을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 Adobe는 2023년 인수 무산 이후 독자적인 AI 디자인 툴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Firefly라는 생성형 디자인 툴을 상용화하며, 포토샵과 일러스트레이터에 AI 기능을 대거 탑재하고 있죠.
    Adobe Creative Cloud와의 통합성 측면에서는 여전히 강점이 있으나, 사용자 중심의 실시간 협업 기능에서는 피그마보다 보수적인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 MicrosoftLoopCopilot을 앞세워 생산성 툴 전반을 AI 중심으로 재구성 중입니다.
    디자인 전용 도구는 아니지만, 오피스·Teams와의 연계성과 ‘노코드 협업’ 기능이 강화되면서, 기업 단위 협업 시장에서 피그마와 일부 기능적 충돌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결국, 피그마는 이들과의 기술 격차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AI 기능 고도화와 사용자 친화적 UX 개선에 집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8. Figma AI 신제품, 실제로 무엇이 다를까?

2025년 5월에 발표된 Figma의 AI 신제품군은 단순한 기능 확장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 Figma Sites: 노코드 방식으로 웹사이트 레이아웃과 구조를 자동 생성해주는 툴로, 디자이너가 아닌 마케터·PM도 직접 활용 가능한 도구입니다. 특히 GPT-기반 콘텐츠 자동 생성 기능이 통합되어 빠르게 콘텐츠 시안을 만들 수 있습니다.
  • Figma Make: 프로토타이핑과 실제 개발 중간 단계를 연결해주는 도구로, UI 요소와 상호작용 흐름을 시각적으로 구현해 프론트엔드 개발자와의 협업이 쉬워집니다.
  • Figma Buzz: 실시간 사용자 피드백을 받아들이고, 이를 기반으로 자동 리디자인을 제안하는 AI 피드백 툴입니다. UX 디자이너들의 반복 수정을 줄여주는 효율성 도구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Figma Draw: 손글씨나 드로잉을 기반으로 자동 도형·레이아웃 제안을 제공하는 시각형 보조 툴입니다. 아이디어 스케치 단계를 디지털화하는 데 탁월합니다.

이러한 제품군은 ‘디자인 → 개발 → 협업’ 전 과정에 걸쳐 Figma 생태계를 확대하려는 전략의 일환이며, 상장 이후 매출 다각화의 핵심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9. 상장 이후 3개월, 주가 흐름은 어떻게 될까?

Figma의 상장 직후 주가 폭등은 희소성·수요 집중 등의 단기 요인이 작용했지만, 이후 흐름은 실적과 시장 반응에 따라 크게 갈릴 수 있습니다. 예상 가능한 흐름은 아래와 같습니다.

  • 긍정적 시나리오
    AI 신제품군이 빠르게 기업 고객에게 도입되고, Q3 실적에서 매출 증가세가 유지된다면 주가는 추가 상승 여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실질적 수익성과 유료 고객 비중 증가가 나타난다면 기술주에 대한 신뢰 회복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 중립 또는 조정 시나리오
    락업 해제와 같은 공급 충격이나, 경쟁사의 공격적 가격정책, 실적 부진 등이 나타날 경우 일시적인 하락이 불가피합니다. 특히 첫날 상승폭이 워낙 커 조정폭도 클 수 있다는 점에서, 보수적 투자 전략이 요구됩니다.

10. 디자인 툴 시장, 지금 어디로 가고 있을까?

디자인 도구는 더 이상 디자이너만의 도구가 아닙니다. 최근 트렌드는 명확합니다.

  • 노코드(No-code) + AI: 누구나 쉽게 UI/UX를 구성할 수 있는 도구 수요가 빠르게 증가 중입니다. 제품 매니저, 콘텐츠 마케터, 심지어 세일즈팀까지 디자인 툴을 활용하고 있죠.
  • 실시간 협업 중심 구조: 피그마의 성공 원인 중 하나는 실시간 협업 기능에 최적화된 UX입니다. 대규모 조직에서는 Google Docs처럼 협업이 가능해야 생산성이 극대화됩니다.
  • 엔터프라이즈 맞춤 기능: 대형 고객사 확보를 위해 보안, 인증, 버전 관리 등 관리 기능도 함께 강화되고 있으며, 이는 장기 고객 유치에 핵심 요소로 작용합니다.

이런 흐름에서 피그마는 선도적인 위치에 있으며, IPO를 통해 확보한 자금으로 이런 기능을 더욱 고도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 총정리: Figma에 지금 투자해도 될까?

피그마의 상장은 단순한 디자인 스타트업 IPO가 아닙니다.
AI, SaaS, 생산성 도구, 협업툴, B2B 소프트웨어 등 여러 산업 카테고리를 동시에 아우르는 ‘기술 플랫폼’의 상장이었고, 그만큼 시장의 기대와 위험 요소가 공존합니다.

투자 관점에서 다음 요소들을 체크하세요.

  • 상장 직후 급등이 실적 기반인지, 단기 심리인지 구분
  • AI 제품의 유료화 전환율과 기업 고객 도입 사례 분석
  • 경쟁사 제품과의 차별성 및 지속 가능한 기술 우위 여부
  • 2025년 하반기 실적 발표 및 락업 해제 일정 모니터링

 

 

노란봉투법 내용 총정리

최근 다양한 뉴스 기사나 커뮤니티 댓글을 보다 보면 ‘노란봉투법’이라는 단어가 자주 눈에 띕니다.겉보기에는 정치권의 논쟁처럼 보일 수 있지만, 이 법안은 실제로 많은 직장인과 기업, 자

aa.infostreamnow.co.kr

 

 

경기도 기후보험 보장내용 청구방법

요즘처럼 날씨 변화가 극심할 때, 갑작스러운 폭염이나 감염병이 걱정되는 분들 많으시죠?2025년 4월부터 경기도에서는 전국 최초로 기후 위험 대응을 위한 공공보험 제도, ‘경기도 기후보험’

aa.infostreamnow.co.kr

 

반응형